Code/Java(5)
-
Java 메서드(Method)
Method 는 함수(Function)의 한 종류로 분류된다. 함수를 정의하는 것 부터 확인해보자. **클래스 기능을 구현하는 메서드 메서드는 멤버 변수를 사용하여 클래스의 기능을 구현한다. 즉 메서드는 함수에 객체 지향 개념이 포함된 용어로 이해해야 한다 Student 클래스에 메서드를 직접 구현하기. package classpart; public class Student { int studentID; String studentName; int grade; String adress; public String getStudentName( ) { return studentName; } }
2023.04.02 -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클래스 그리고 패키지
객체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: 국어 사전에서 객체의 뜻을 찾아보면 '의사나 행위가 미치는 대상'이라고 설명한다. 우리 주위에 있는 객체를 생각해보면 사람, 자동차, 건물 등이 있다. 즉 눈에 보이는 사물 = 모두 객체 라는 공식이 성립할 수 있다. 객체를 먼저 정의하고 각 객체가 어떤 기능을 제공하고 객체 간 협력을 통해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. 예시: 학생이 밥을 먹는다: 객체 : 학생 , 밥 학생이 밥을 먹는 협력으로 객체가 서로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다. 클래스란? 객체 지향 프로그램은 클래스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한다.클래스는 객체의 속성과 기능을 코드로 구현한 것이다. 객체를 클래스로 구현하는 것 -> 클래스를 정의한다. 클래스를 정의하기 위한 조건: 우선 클래스 이름과 클래스가 가지는..
2023.04.02 -
상수와 리터럴
상수와 리터럴 예시: 원주율을 3.14로 정했다면 이 값은 변하지 않는 값이다. 이렇게 항상 변하지 않는 값을 상수(constant)라고 한다. 자바에서 상수는 다음처럼 final 예약어를 사용해 선언한다. 예제 코드: package chapter2; public calss Constart.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[] args) { final int MAAX_NUM = 100; final int MIN_NUM; MIN_NUM = 0; System.out.println(MAX_NUM); System.out.println(MIN_NUM); //MAX_NUM = 1000;
2023.04.02 -
UTF-16 과 UTF-8 의 차이점
자바에서는 UTF-16 인코딩 방식을 활용한다. 모든 문자를 2바이트로 표현하는 방식이 바로 UTF-16이다. 단점으로는 모든 문자를 2바이트로 표현하면 1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알파벳 같은 자료를 저장하는 경우 메모리 낭비가 될 수 있다. 반면에 UTF-8 은 각 문자마다 1바이트에서 4바이트까지 사용하여 문자를 나타내는 방식이다. UTF-16에 비해 메모리 낭비가 적고 전송 속도가 빠르다. 이러한 이유로 UTF-8은 인터넷에서 많이 사용한다. ChatGPT3.5 를 기반으로 물어보았을때 답변은 아래와 같다. UTF-8과 UTF-16은 모두 유니코드 문자 집합을 인코딩하는 방식 중 두 가지입니다. 그러나 각각의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과 장단점이 있습니다: 인코딩 방식 UTF-8 : 가변 길이 문..
2023.04.02 -
Hello ! Java !
자바를 공부하기 시작했다.. 나중에 취업할때 보안쪽으로 특출나지 못 한다면 개발이라도 해야한다는 생각에 프로그래밍 공부도 시작하기로 했다. print, printf 뭐 기타등등 있다 하는데 자바에서 문자열 출력은 위와 같이 한다고 책에 나와있었다... 첫 객체지향언어인데... 함수가 너무 복잡하다... main 함수 선언하는 것도 이렇게 복잡하다니.. 너무 싫다 싫어;; 자바 개발자 수요가 많다 해서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가봐야겠다 !! 우선 개념부터 차근차근 쌓아 올라가봐야겠다.
2023.04.02